아기 성장 발달 및 놀아주는 다양한 방법(생후30~36개월)

CDC의 발달 체크리스트

사회적 및 정서적 발달

  • 아이는 단순한 상호작용 놀이에 참여하고 친구들과의 놀이를 시작한다. 예를 들어, 역할놀이에서 “엄마”, “아빠” 역할을 하며 놀이를 즐긴다.
  • 부모의 감정을 인식하고 이를 이해하려는 능력이 발달한다. 예를 들어, 부모가 슬프거나 화가 난 모습을 보일 때 이를 위로하려고 시도한다.
  • 소유권 개념이 형성되면서 자신의 물건에 대한 집착이 증가하고, 친구와 장난감을 공유하기 어려워할 수 있다.

언어적 발달

  • 아이는 간단한 문장을 만들며 약 200~300개의 단어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.
  • “누가?”, “왜?”와 같은 질문을 자주 하며 세상에 대한 호기심을 표현한다.
  • 이름을 부르면 반응하고, 간단한 지시를 이해하며 따를 수 있다.

인지적 발달

  • 간단한 퍼즐을 맞추고 도형을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보인다.
  • 물체나 사람의 이름을 기억하며 특정 상황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다.
  • 상상력이 풍부해지며 가상 놀이를 즐긴다. 예를 들어, 블록을 비행기로 사용하며 “이건 내 비행기야”라고 말한다.
  • 숫자 세는 흉내를 내며 숫자 개념의 기초 단계를 보여준다.

신체적 발달

  • 계단을 오를 때 한 발씩 교대로 발을 사용할 수 있다.
  • 삼륜 자전거를 타거나 간단한 공 놀이에 참여한다.
  • 연필이나 크레용으로 선이나 간단한 원을 그릴 수 있다.
  • 숟가락과 포크를 사용하여 혼자 식사를 할 수 있는 자립적인 식습관을 형성한다.

1. 아기 성장발달과 돌봄

1) 아기 성장 발달

신체 발달

  • 대근육 운동 능력: 아기는 달리기, 점프, 계단 오르내리기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. 특히, 계단을 오를 때 한 발씩 교대로 발을 사용하는 능력이 향상된다. 또한, 공을 두 손과 가슴을 이용해 잡거나, 발끝으로 서는 등의 균형 감각이 발달한다. 
  • 소근육 운동 능력: 손과 손가락의 협응 능력이 발달하여 작은 물건을 다루거나, 블록 쌓기, 그림 그리기 등의 활동이 가능해진다. 또한, 연필이나 크레용을 아랫부분을 잡고 선을 그리거나 원을 그리는 등의 세밀한 작업도 수행할 수 있다. 

인지 발달

  • 문제 해결 능력: 아기는 간단한 퍼즐을 맞추거나 도형을 구별하는 등 문제 해결 능력을 보여준다. 또한, 숫자 세는 흉내를 내며 숫자 개념의 초기 단계를 습득한다.
  • 상상력과 창의력: 상상력이 풍부해지며, 가상 놀이를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표현한다. 예를 들어, 블록을 비행기로 사용하며 “이건 내 비행기야”라고 말하는 등 창의적인 놀이를 즐긴다.

사회성 및 정서 발달

  • 자아 인식과 독립성: 아기는 자아 인식이 발달하면서 “내가 할 거야”라고 말하며 독립적인 모습을 보인다. 또한,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려는 능력이 향상된다.
  • 또래와의 상호작용: 또래와의 놀이를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이 발달하며, 협동이나 나눔의 가치를 배우게 된다.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회적인 규칙을 이해하고 따르는 법을 익힌다.
이 시기 돌봄 방법

일상 생활에서의 돌봄

자립심 형성 지원

  • 간단한 선택 제공: 아이에게 “사과 먹을래? 바나나 먹을래?”와 같이 선택권을 주어 자신의 결정을 존중받는 경험을 제공한다.
  • 스스로 할 수 있도록 격려: 양말 신기, 옷 입기 등의 간단한 일은 아기가 혼자 하도록 도와주며, 시도 자체를 칭찬한다.

규칙적인 생활 습관 지도

  • 일정한 스케줄 제공: 식사, 낮잠, 놀이, 목욕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예측 가능한 일상을 만들어준다. 이는 아기의 안정감 형성에 도움이 된다.
  • 청결 습관 지도: 칫솔질, 손 씻기, 얼굴 닦기 등의 기본적인 청결 활동을 놀이처럼 진행한다. 예를 들어, 칫솔질 시간에 노래를 틀거나, 손 씻기를 “버블 놀이”로 바꿔 재미를 더한다.

대근육 발달 지원

  • 활동적인 시간 마련: 아기는 뛰고, 달리고, 점프하는 활동을 즐긴다. 매일 일정 시간을 실내외에서 활동적으로 움직이도록 도와준다. 예를 들어, 놀이터에서 그네를 타거나 계단 오르내리기를 연습하도록 유도한다.
  • 안전한 환경 제공: 아기가 활동 중 넘어지거나 다칠 수 있으므로,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. 매트나 쿠션을 깔아 충격을 최소화하고, 위험한 물건은 치워야 한다.

소근육 발달 지원

  • 손을 사용하는 놀이 제공: 블록 쌓기, 퍼즐 맞추기, 그림 그리기 등을 통해 손가락의 정교한 움직임을 연습할 기회를 제공한다.
  • 자립적인 생활 도구 사용 연습: 숟가락, 포크, 칫솔 등을 스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도와준다. 이 과정에서 인내심을 가지고 아이의 속도에 맞춰 기다려주는 것이 중요하다.

문제 해결 능력 지원

  • 간단한 질문과 대화 유도: 아기에게 “왜 이걸 선택했을까?”, “다른 방법으로 해볼까?”와 같은 질문을 던져 사고력을 키운다.
  • 퍼즐이나 도형 맞추기 놀이 제공: 아이가 자신의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해보도록 격려하며, 실패해도 괜찮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.

상상력과 창의력 지원

  • 가상 놀이 격려: 아기가 상상력을 발휘해 인형이나 블록을 활용하여 이야기나 역할 놀이를 하면, 부모도 함께 참여해 이야기를 확장해준다.
  • 미술 활동 지원: 다양한 미술 도구(물감, 크레용, 색종이 등)를 제공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할 기회를 준다. 작품을 완성했을 때는 칭찬하며 성취감을 느끼게 한다.

감정 표현 지원

  •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지도: 아기가 화가 나거나 슬플 때 “지금 화가 났구나?”, “왜 속상했어?”라고 물으며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돕는다.
  • 긍정적 감정 강화: 아이가 잘했거나 배려심을 보였을 때 “참 잘했어!”, “정말 멋지구나!”라며 즉각적으로 칭찬해준다.

또래와의 상호작용 지원

  • 함께 놀 기회 제공: 또래 친구들과의 놀이 시간을 계획해준다. 소꿉놀이, 공놀이 등을 통해 협동심과 나눔의 가치를 배울 수 있다.
  • 다툼 중재: 놀이 중 장난감으로 다툴 경우, “차례를 정해볼까?”, “같이 사용할 방법을 찾아볼까?”와 같이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.

2. 아기와 놀아주는 법

신체 활동

  • 장애물 코스 놀이: 집 안이나 야외에서 쿠션, 상자 등을 이용해 간단한 장애물 코스를 만들어 아기가 뛰어넘거나 기어다니게 한다. 이를 통해 대근육 발달과 균형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.
  • 리듬에 맞춰 춤추기: 음악을 틀고 아기와 함께 춤을 춘다. 리듬에 맞춰 움직이며 신체 조절 능력과 리듬 감각을 기를 수 있다.

인지 활동

  • 색깔과 모양 분류 놀이: 다양한 색깔과 모양의 블록이나 장난감을 이용해 아기와 함께 분류하는 놀이를 한다. 이를 통해 인지 능력과 분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.
  • 숫자 세기 놀이: 일상 생활에서 사물을 세며 숫자 개념을 익히게 한다. 예를 들어, 계단을 오르내릴 때 계단의 수를 세거나, 과일의 개수를 세는 활동을 통해 숫자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.

사회성 및 정서 발달 활동

  • 역할 놀이: 인형이나 장난감을 이용해 가족 구성원이나 동물의 역할을 맡아보는 놀이를 한다. 이를 통해 아기는 사회적 역할과 감정 표현을 연습할 수 있다.
  • 그림책 읽기: 아기와 함께 그림책을 읽으며 이야기 속 등장인물의 감정과 행동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. 이를 통해 공감 능력과 언어 표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.

창의력 향상 활동

  • 미술 활동: 크레용, 물감 등을 이용해 자유롭게 그림을 그리거나 색칠하는 활동을 한다. 이를 통해 아기의 창의력과 소근육 발달을 도울 수 있다.
  • 블록 쌓기: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블록을 이용해 아기와 함께 구조물을 만들어본다. 이를 통해 공간 감각과 창의적인 사고 능력을 기를 수 있다.

일상 생활 활동

  • 간단한 집안일 돕기: 아기에게 장난감 정리, 식탁 닦기 등 간단한 집안일을 함께 하도록 유도한다. 이를 통해 책임감과 자립심을 기를 수 있다.
  • 요리 활동 참여: 아기와 함께 간단한 요리나 베이킹을 하며 재료의 질감과 냄새를 경험하게 한다. 이를 통해 감각 발달과 함께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.
Leave a Comment

Comments

No comments yet. Why don’t you start the discussion?

답글 남기기